상단 배너 이전 슬라이드
상단 배너 다음 슬라이드

영남대학교영남대학교

 

학사

융합전공

융합전공이란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9조제1항에 따라 둘 이상의 학부(과)ㆍ전공이 융합하여 제공하거나 교육과정 공동운영을 통하여 국내ㆍ외 대학과 융합하여 제공하는 전공을 말하여, 영남대학교 또는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공동운영하는 국내·외 대학의 학생 중에서 별도의 기준에 따라 선발된 학생이 이수할 수 있다. 융합전공은 단일전공 또는 복수전공으로 이수 할 수 있다.

융합전공의 종류
그린에너지전공

21세기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그린에너지분야 전문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화학공학부, 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물리학과의 에너지관련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전공과정

상세보기
그린에너지전공그린에너지전공의 학년/학기에 따른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를 보여주는 표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
2학년/
1학기
그린에너지
공학
3(3) 에너지화공
전공
기계재료 3(3) 기계설계
전공
신재생
에너지물리
실험
2(4) 물리학과
전기전자
공학
3(3) 기계설계
전공
현대물리학 3(3) 물리학과
2학년/
2학기
응용
고체역학
3(3) 기계설계
전공
3학년/
1학기
기계진동 3(3) 석사인정,
기계시스템
전공
반도체
소자공학
3(3) 융합화학
공학전공
반도체
소자공학
3(3) 에너지화공
전공
신재생
에너지개론
3(3)
에너지와
광학
3(3) 물리학과
열전달 3(3) 석사인정,
기계시스템
전공
전기화학 3(3) 신소재공학
전공
3학년/
2학기
고체물리학 3(3) 물리학과
반도체재료 3(3) 석사인정,
신소재공학
전공
소결공정 3(3) 신소재공학전공
수소연료
전지
3(3) 신소재공학
전공
태양전지
개론
3(3)
태양전지
소재
3(3) 에너지화공
전공
표면및
박막공정
3(3) 신소재공학
전공
4학년/
1학기
자동제어 3(3) 석사인정,
기계시스템
전공
전자재료
공정
3(3) 에너지화공
전공
4학년/
2학기
광전자
소자제작
실습
2(4) 에너지화공
전공
광전자소자
특성평가
3(3) 에너지화공
전공
에너지와
녹색기술
3(3) 에너지화공
전공
자동차공학 3(3) 기계시스템
전공
국제개발및새마을학전공

21세기 지구촌 개발을 이끌어갈 국제개발및새마을학 분야의 전문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새마을국제개발학과, 경제금융학부, 사회학과를 융합하여 만든 전공

상세보기
국제개발및새마을학전공국제개발및새마을학전공의 학년/학기에 따른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를 보여주는 표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
1학년/
2학기
새마을
국제개발의
이해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2학년/
1학기
거시경제학 3(3) 경제금융
전공
미시경제학 3(3) 경제금융
전공
사회조사
방법론
3(3) 사회학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3(3) 사회학과,
휴먼서비스학과
지역개발학
개론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2학년/
2학기
국제기구와
국제회의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사회문제론 3(3) 사회학과
3학년/
1학기
사회교육론 3(3) 교직,
사회학과
새마을운동
사례분석
3(3)
3학년/
2학기
국제무역론 3(3) 경제금융
전공
사회발전론 3(3) 사회학과
새마을
개발론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주민참여와
NGO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지역
사회복지론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4학년/
1학기
글로벌
사회와
국제협력
3(3) 사회학과
금융투자
사례연구
3(3) 경제금융
전공
대구경북
지역의이해
3(3) 사회학과
세계화와
한국경제
3(3) 경제금융
전공
한국지역
사회개발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4학년/
2학기
게임및
행동이론과
국제개발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국제개발
협력프로젝트
실행과관리
3(3) 새마을
국제개발
학과
전자정보융합전공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지역 산업 맞춤형 AI/SW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전공

상세보기
전자정보융합전공전자정보융합전공의 학년/학기에 따른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를 보여주는 표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
※ RIS사업 기준 적용(확정 이후 업데이트 예정)
미래차융합전공

미래차 전환부품 인재양성, 미래차 전환 혁신기술 개발 및 미래차 생태계 구축을 위한 융합전공

상세보기
미래차융합전공미래차융합전공의 학년/학기에 따른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를 보여주는 표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
※ RIS사업 기준 적용(확정 이후 업데이트 예정)
차세대모빌리티반도체융합전공

반도체 분야의 지역 및 학생 수요 맞춤형 특성화 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전공

상세보기
차세대모빌리티반도체융합전공차세대모빌리티반도체융합전공의 학년/학기에 따른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를 보여주는 표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
2학년/
1학기
CAD및
실습
2(3) 신소재공학
전공
고체역학 3(3) 기계시스템
전공
논리회로 3(3) 정보통신
공학과
전기전자
회로기초
3(3) 로봇공학과
회로이론 3(3) 정보통신
공학과
2학년/
2학기
물리전자 3(3) 전자공학과
양자화학 3(3) 융합화학
공학전공
양자화학 3(3) 화공시스템
전공
양자화학 3(3) 에너지화공
전공
응용
고체역학
3(3) 기계시스템
전공
전기전자
회로심화
3(3) 로봇공학과
전자회로 3(3) 정보통신
공학과
3학년/
1학기
반도체
공정장비
3(3) 석사인정,
물리학과
반도체공학 3(3) 전자공학과
3학년/
2학기
기기분석(2) 3(3) 화학과
마이크로
컴퓨터
3(3) 전자공학과
반도체물리 3(3) 물리학과
반도체재료 3(3) 석사인정,
신소재공학
전공
자동제어 3(3) 로봇공학과
컴퓨터
계측및제어
2(3) MSC,
기계시스템
전공
태양전지
소재
3(3) 에너지
화공전공
4학년/
1학기
반도체공정 3(3) 신소재
공학전공
반도체
소자물리
3(3) 물리학과
전자재료
공정
3(3) 융합화학
공학전공
전자재료
공정
3(3) 에너지화공
전공
컴퓨터비전
프로그래밍
및응용
2(2) 석사인정,
전자공학과
화학반응
동역학
3(3) 석사인정,
화학과
4학년/
2학기
ICT
융합통신
공학
2(2) 전자공학과
고체재료의
합성과분석
3(3) 화학과
디스플레이
반도체공학
2(2) 석사인정,
전자공학과
반도체
나노공정
실험
2(4) 물리학과
에코스마트시티융합전공

에코업 6대 분야 맞춤형 융합전공 구축을 통하여 혁신 인재를 양성하고, 첨단 분야를 반영한 혁신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실무형 공학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융합전공

상세보기
에코스마트시티융합전공에코스마트시티융합전공의 학년/학기에 따른 교과목명. 학점(시간), 비고를 보여주는 표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
(시간)
비고
2학년/
1학기
고체역학 3(3) 기계설계
전공
물리화학적
수처리
3(3) 환경공학과
열역학 3(3) 기계설계
전공
유기화학(1) 3(3) 융합화학
공학전공
유기화학(1) 3(3) 에너지화공
전공
유기화학(1) 3(3) 화공시스템
전공
유기화학(1) 3(3) 고분자·바이오
소재전공
환경공업수학 3(3) 환경공학과
환경화학 3(3) 환경공학과
2학년/
2학기
수질관리 3(3) 환경공학과
에너지수지 3(3) 융합화학
공학전공
에너지수지 3(3) 화공시스템
전공
에너지수지 3(3) 에너지화공
전공
유기화학(2) 3(3) 고분자·바이오
소재전공
환경분석
화학
3(3) 환경공학과
환경유체
역학
3(3) 환경공학과
유기화학(2) 3(3) 융합화학
공학전공
유기화학(2) 3(3) 화공시스템
전공
유기화학(2) 3(3) 에너지화공
전공
3학년/
1학기
기계요소
설계(1)
3(3) 기계시스템
전공
기계진동 3(3) 석사인정,
기계시스템
전공
자원순환과
폐기물관리
3(3) 환경공학과
물산업
프로젝트
관리
3(3)
수질공정
시험법및
실습
2(4) 환경공학과
3학년/
2학기
상하수도
공학및
정수처리
실습
3(4) 석사인정,
환경공학과
생물학적
수처리
3(3) 석사인정,
환경공학과
지속가능
물보전
PBL1
3(5) 환경공학과
로봇공학 3(3) 기계시스템
전공
현장실습(1)
-핵심융합
물산업
심화연수
3(3)
4학년/
1학기
미래자동차

대체에너지
3(3) 기계시스템
전공
수처리공정
모델링및
실습
3(4) 석사인정,
환경공학과
자동제어 3(3) 석사인정,
기계시스템
전공
지속가능
물보전
PBL2
3(5) 환경공학과
현장실습(2)-
산업실무
역량강화및
실습
3(3)
4학년/
2학기
빅데이터
기반
환경공간
정보체계
3(4) 환경공학과
융합전공 운영 기준표
>융합전공 최소이수학점 기준융합전공 최소이수학점 기준 및 신청, 이수자격, 참여학부(과), 주간학과를 보여주는 표
융합전공 최소이수학점 신청 및 이수자격 참여학부(과) 주관학과
그린에너지전공 36
  • 입학 당시 선발된 자
물리학과, 기계공학부,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부 화학공학부
국제개발및새마을학전공 36
  • 입학 당시 선발된 자
중국언어문화학과, 경제금융학부, 무역학부, 경영학과 상경대학
전자정보융합전공 36
  • RIS사업 기준 적용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전공, 컴퓨터공학전공 전자정보융합전공
미래차융합전공 36
  • RIS사업 기준 적용
전자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로봇공학과 미래차융합전공
차세대모빌리티반도체융합전공 36
  • 참여학부(과·전공)에서 선발된 자
물리학과, 화학과, 기계공학부, 화학공학부,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전공, 로봇공학과, 신소재공학부 물리학과
에코스마트시티융합전공 36
  • 참여학부(과·전공)에서 선발된 자
환경공학과, 기계공학부, 화학공학부 환경공학과
담당부서 : 교무팀
  • 최종수정일 : 2023.11.30